오늘은 로보티즈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최근 ai 와 함께 가장 핫한 업종중 하나인 로봇관련주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로보티즈] 로봇관련주
1999년 설립된 로보티즈는 로봇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로봇의 핵심 기술인 액츄에이터와 감속기를 자체 개발하여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로봇 구축 솔루션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입니다.
[로보티즈 개요]
로보티즈는 1999년 3월 25일에 설립된 로봇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로봇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고민을 회사의 이름으로 삼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로봇 솔루션(로봇 액츄에이터 모듈, 구동 소프트웨어), 로봇, 로봇 부품, 실내외 자율주행로봇 제조 및 도소매, 연구개발/무역입니다.
핵심 기술은 자율주행로봇을 비롯한 서비스 로봇 구축 솔루션이며, 크게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제품명: Dynamixel-다이나믹셀)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통합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강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로봇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기획 및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김병수 대표이사가 이끌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5로1길 37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재무 분석]
- 매출액
2024년 기준 269억 3천만원(별도), 300억(연결)
- 영업이익
최근 영업이익은 -9억원, -22억원, -53억원으로 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
19.99%(2023년 결산 기준), 업종 평균(89.02%)보다 낮은 수준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현금흐름
현금성 자산이 매출액 대비 394.79%로 높은 편이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보다 낮아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실적 추이]
2024년 9월 기준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했습니다. 이는 액츄에이터의 중국 및 유럽향 수주 부진에도 불구하고, 국내를 비롯한 북미, 일본, 기타 지역으로의 공급 증가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그러나 경상연구개발비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손실 규모가 전년 대비 확대되었으며, 금융자산평가 관련 수지 개선에도 순손실 규모 또한 확대되었습니다.
[시장 점유율 및 경쟁력]
로보티즈는 로봇의 동작에 가장 중요한 부품인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를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인공지능형(AI) 소프트웨어 등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되는 모든 관절에 대응 가능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아마존, 토요타, 덴소, 디즈니, NASA 등 글로벌 다수의 기업과 거래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2024년 3분기 기준 약 76%로 높은 해외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기관투자자 외국인투자자 분석]
최근 5일간 외국인(보유비율: 0.75%)은 14,257주 순매수를 하였으며, 기관은 3,767주 순매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로보티즈 [매출현황]
제품별 매출비중: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다이나믹셀)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가별 매출비중: 수출 비중이 약 76%(2024년 3분기 기준)로, 북미, 일본,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매출현황 장단점 분석:
장점: 글로벌 Top-Tier 수준의 액추에이터 제조 기술력 보유, 높은 해외 매출 비중
단점: 중국 및 유럽향 수주 부진으로 일부 지역 매출 감소
[주가 동향 및 밸류에이션]
PER: N/A(2024년 8월 14일 기준), 2023년 말 기준 -285.96배
PBR: 2.46배(2024년 8월 14일 기준), 2023년 말 기준 4.10배
시가총액: 2,407억원(코스닥 312위)
[투자 관점의 장단점]
장점
로봇의 핵심 부품인 액츄에이터와 감속기를 자체 개발하는 기술력 보유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되는 모든 관절에 대응 가능한 제품 라인업
낮은 부채비율(19.99%)과 높은 자기자본비율(83.43%)로 안정적인 재무구조 확보
단점
최근 3년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적자 지속
경상연구개발비 증가로 인한 판관비 부담 가중
총자산 증가율(-7.13%)이 업종 평균(15.82%)보다 낮아 성장성 제한
[리스크 요인]
지속적인 영업손실로 인한 재무적 부담 증가 가능성
연구개발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
글로벌 경쟁 심화 및 일부 지역(중국, 유럽)에서의 수주 부진
[향후 전망]
국내 지능형로봇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배송로봇의 수요 확대와 LG전자향 실외 자율주행로봇 '개미'의 공급 본격화, 고성능 다이나믹셀-Y 출시 등으로 외형 성장이 전망됩니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물적분할 발표 이후 주가 하락이 있었으나, 이는 과도하다는 분석도 있어 향후 주가 반등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다만, 지속적인 영업손실 개선이 선행되어야 장기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천주를 궁금해하시고 원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요.
단순 테마분석 & 관심주 인 점 참고해주시고,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는 점! 아시죠?^^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우로보틱스 분석] 지능형 로봇의 선두주자, AMR 자율주행로봇 관련주 (2) | 2025.05.14 |
---|---|
양자컴퓨터의 차세대 신기술. 양자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자. 옵티시스 케이씨에스 퀀텀온 (3) | 2025.03.04 |
로봇관련주 테마주의 상세분석과 지금 뜨는 대장주를 찾아보자 (3) | 2025.01.03 |
양자암호 관련주 분석, 테마주 TOP5 와 대장주는? (4) | 2024.12.12 |
반도체장비 관련주 총정리 TOP5, 테마주 대장주는? (1) | 2024.12.02 |